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주택관리사 관계법규 강의노트
- 마법상자
- 로또
- 마블 올스타 베틀
- 주택관리사 민법 강의노트
- 프리미엄 독서실 창업 체험기
- 기계설계
- 토토
- 주택관리사 민법
- 코스트코
- 주택관리사 회계원리 강의노트
- 트로피 지수
- 주택관리사 시설개론
- 클래시로얄
- 주택관리사
- 주전무
- 영웅 상자
- 마상
- 로또당첨번호
- 자상
- 초구토토
- 스포츠토토
- 주택관리사 회계원리
- 로또 예상번호
- 축구토토
- 마법 상자
- 주택관리사 시설개론 강의노트
- 목공
- 클래시 로얄
- 코스트코 상봉점
- Today
- Total
목록주전무 (194)
팔까말까

제3절 소화활동설비 01 연결송수관 설비 (1) 송수구 설치기준 ②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⑤ 구경 65mm 쌍구형으로 할 것 (2) 배관 등 ① 주배관 습식설비 (11층 이상, 높이 31m 이상) ② 주배관 구경 100mm 이상 (3) 방수구 설치기준 ① 층마다 설치(아파트 → 1층, 2층 제외) ⑤ 호수집결구 : 0.5m 이상 1.0m 이하 ⑦ 평상시 닫힌 상태를 유지할 것 (4) 방수기구함 설치기준 ① 피난층과 가장가까운 층을 기준 → 3개층 마다, 그 층의 방수구마다 보행거리 5m 이내에 설치할 것 ② 방수기구함에는 길이 15m의 호스와 방사형 관창을 비치할 것 02 비상콘센트 설비 ① 전원회로 :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로 할 것 ② 하나의 전용 회로 → 비..

제7장 소방설비 제2절 소화설비 03 옥외소화전 설비 (1) 수원 수원의 저수량 = 7㎥ x N (2개 이상 2개) 1개 = 7㎥ 2개이상= = 14㎥ (2) 가압송수장치 1) 방수압력 : 0.25 MPa 이상 2) 방수량 : 350 ℓ/min 이상 350 ℓ/min x 20분 = 7000ℓ = 7㎥ (3) 배관 1) 호수접결구 → 지면으로부터 높이 0.5m 이상 ~ 1.0m 이하 2) 호스 구경 → 65mm (5) 설치간격 건물의 외부 각 부분에서 소화전까지의 수평거리 40m 이하 04 스프링클러 설비 (1) 소화기능 + 경보기능 (2) 헤드의 작동 온도 : 67 ~ 75 ℃ * 리터딩체임버 : 오보방지 (3) 헤드의 설치 간격 건물의 용도 및 구조 각 부분에서의 수평거리(m) 헤드의 간걱(m) 방호면..

제7장 소방설비 제1절 개요 02 소방시설의 종류 1. 소화설비 : 스프링쿨러 2. 경보설비 3. 피난구조설비 4. 소화용수설비 5. 소화활동설비 ① 제연설비 ② 연결송수관설비 ③ 연결살수설비 ④ 비상콘센트설비 ⑤ 무선통신보조설비 ⑥ 연소방지설비 제2절 소화설비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 (1) 용어 ② 소화기 가. 소형 : 능력단위가 1단위 이상이고 대형소화기 능력단위 미만 나. 대형 A급 : 10딘위, B급 : 20 단위 이상 ③ 자동확산소화기 ④ 자동소화장치 라 가스자동소화장치 → 가스계 소화약제 마. 분말자동소화장치 → 분말계 소화약제 ⑦ 일반화재(A급 화재) ⑧ 유류화재(B급 화재) : 인화성 가스 ⑨ 전기화재(C급 화재) ⑩ 주방화재 (K급 화재) (2) 설치기준 ① 소화기 ⓐ 각..

제6장 가스설비 제1절 용어 06 고압 1.0MPa 이상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고압) 07 중압 0.1MPa 이상 1.0MPa 미만 조건 ○ 0.01MPa 이상 0.2MPa 미만 08 저압 0.1MPa 미만 조건 ○ 0.01MPa 미만 09 액화가스 0.2MPa 이상 10 보호시설 제2종 보호시설 :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 LPG (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석유가스 LNG (liquefied natural gas) 액화천연가스 프로판 C3H8 부탄 C4H10 메탄 CH4 무게 공기보다 무겁다 공기보다 가볍다 가스경보기 설치 위치 바닥에서 30cm 천장에서 30cm 사용량 kg/h ㎥/h 발열량 ↑ ↓ 공기소비량 ↑ ↓ 중독성 위험 ○ X 저장 크기 작은 용기 대규모 저장시설 폭발위..

제5장 오수처리설비 제1절 기초사항 01 오염의 지표 1 BO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ppm = g/㎥ 2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공장 폐수의 수질 오염 측정 ppm = g/㎥ 3 DO 용존산소량 ppm = g/㎥ 4 SS 부유물질량 오수의 탁도 ppm = g/㎥ 5 스컴 정화조 내의 오수표면위에 떠오르는 오물찌꺼기 활성오니 미생물 덩어리 * 용어정리(하수도법) 1. 하수 : 오수 + 하수도에 유입되는 빗물과 지하수, 농작물 경작으로 인한 것은 제외 4. 공공하수도 → 지방자치단체 설치 관리 (개인하수도는 제외) 5. 개인하수도 → 설치자나 소유자 6. 하수관로 7. 합류식 하수관로 → 오수 + 빗물 지하수 함께 흐르도록 → 정화조 설치 ○ 8. 분류식 하수관로 → 오수/ 빗물, 지하수 → 각각 구분 ..

제4장 배수 및 통기설비 제2절 통기설비 01 통기관의 설치목적 (1) 트랩의 봉수 보호 (2) 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3) 신선한 공기를 유통시켜 관내 청결 유지 (4) 배수관 내의 기압 일정하게 유지 배수관 : 실선, - D - 통기관 : 점선, - V - 02 통기관의 종류 (1) 각개통기관 ① 이상적인 통기방식 ② 시설비 ↑ ③ 관경 32mm 이상 or 배수관 구경의 1/2 이상 (2) 루프 통기관 (회로 통기관, 환상 통기관) ① 기구수 : 2개 이상 8개 이하(대변기 : 3개 이하) ② 관경 : 배수수평지관과 통기수직관 중 작은 쪽 관경의 1/2 이상 or 32mm 이상 (3) 도피 통기관 ① 루프 통기관 내에서 통기 능률을 촉진시키기 위한 통기관(최하류에 있는 위생기구에 연결) ② 관경 :..

제4장 배수 및 통기설비 제1절 배수설비 01 배수의 분류 (1) 사용 목적에 의한 분류 1) 오수 2) 잡배수 계통 3) 우수계통 4) 특수배수 계통 (2) 사용 개소에 의한 분류 ① 옥내배수 : 건물내의 배수 및 건물의 외벽에서 1m 까지의 배수 ② 옥외배수 : 옥내 배수 이외의 배수 * 중력배수 :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의 중력에 의한 배수 * 기계배수 : 지하층과 같이 배수 집수정이 공공하수도관보다 낮을 경우 배수펌프를 사용하여 공공하수도관으로 퍼올리는 강제배수 * 간접배수 : 냉장고, 세탁기, 공기조화기, 수영장 등의 배수 방식으로 배수관에 바로 연결하지 않고 기구로부터의 배수관에 물받이 공간을 두고 배수하는 방식 02 배수관의 구배 구배(경사, 기울기) → 시방서 기준 관지름(mm) 기울기 6..

제7장 무형자산 무형자산 : 특허권, 영업권(권리금), 개발비 등 ① 식별가능성 ② 기업이 통제 가능 ③ 미래의 경제적 효익○ ⓐ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 자산의 원가를 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있다. B/S 특허권 (비용) 영업권 ( 20 ) 개발비 (비용) 외부에서 창설된 영업권 ○ 내부에서 창설된 영업권 X A회사 자산 100 부채 30 자본 70 - 포괄 인수 → 대가 ① 90 → 영업권 20 (90 - 70)→ 자산 ② 60 → 염가매수차익 10 → 수익 ∴ 비용 → 효익 → 무형 자산 → 비용화 → 상각비 처리 (영업권 제외) → 유형자산과 동일 P262 6. 무형자산의 상각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은 상각하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은 상각하지 않는다. (1) 무형자산의 상각 ①..

제3장 급탕설비 제3절 급탕방식의 분류 02 중앙식 1) 직접가열식 ① 효율 ↑ ② 중소규모 건물 ③ 급수처리 자주해야 한다. ④ 수명이 짧다 2) 간접가열식 ① 대규모 건축물 ② 자동온도조절기(서모스탯) 제4절 급탕배관 01 급탕배관 방법 (1) 배관 방식 1) 단관식(1관식) 배관이 짧은(15m 이내) 주택이나 소규모 건물 2) 순환식(복관식 또는 2관식) 급탕관의 길이가 길 때 대규모 건물 * 역환수방식 (리버스 리턴 방식) 하향식의 경우에 각 층의 온도차를 줄이기 위하여 층마다의 순환배관 길이를 같게 하도록 반탕관을 역회전시켜 배관한다. 이 방법은 각 층의 온수순환을 균등하게 할 목적으로 쓰인다. (2) 순환방식 1) 중력식 2) 강제식 순환수량 (ℓ/h) = 손실열량(KW) x 3,600 / 비..

제3장 급탕설비 제1절 급탕의 기초사항 01 물의 팽창과 수축 ① 4℃ 물 → 100℃ 물 : 4.3% 팽창 ② 100℃ 물 → 100℃ 증기 : 1,700배 팽창 02 열량 열량의 단위 KJ 1kcal ≒ 4.2 KJ 물의 비열 = 4.2 KJ/kg·K 열량 = 질량 x 비열 x 온도차 1kW = 3600 KJ/h 03 물처리 급탕하기 위해서는 급수하는 물의 경도가 높으면 관계통내에 스케일이 끼어 전열효율이 저하하고 마침내 부식이 촉진되어 급탕설비의 수명을 단축시키므로 연수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제2절 급탕설계 02 급탕온도 급탕온도 : 60~70 ℃ 표준 주택, 아파트, 호텔의 1인 1일당 급탕량은 75~150 ℓ 급탕부하(KW) = 급탕량 x 비열 x 온도차이 ÷ 3,600 03 급탕 설비용 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