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로또 예상번호
- 주택관리사 민법
- 주택관리사
- 영웅 상자
- 목공
- 주택관리사 회계원리 강의노트
- 코스트코
- 주전무
- 초구토토
- 기계설계
- 주택관리사 회계원리
- 로또
- 로또당첨번호
- 클래시 로얄
- 축구토토
- 마상
- 주택관리사 시설개론
- 코스트코 상봉점
- 마블 올스타 베틀
- 트로피 지수
- 주택관리사 시설개론 강의노트
- 프리미엄 독서실 창업 체험기
- 스포츠토토
- 자상
- 주택관리사 관계법규 강의노트
- 마법 상자
- 클래시로얄
- 토토
- 주택관리사 민법 강의노트
- 마법상자
- Today
- Total
팔까말까
주택관리사_회계원리#45_p.390 자동조정오류 본문
제11장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02 오류수정
1. 오류의 유형
(1) 자동오류조정
① 기말재고자산
② 선급비용
③ 선수수익
④ 미수수익
⑤ 미지급비용
(2) 비자동오류조정
① 감가상각비
② 자본적 지출 ↔ 수익적 지출
ex) 감가상각비 오류
x1 | x2 | x3 | |
감가상각비 | 500 과대 | 700 과대 | 900 과소 |
500 과대 | 1,200 과대 | ||
감가상각비(누계) | 500 과대 | 1,200 과대 | 300 과대 |
기말잉여금 | 500 과소 | 1,200 과소 | 300 과소 |
x1 | x2 | x3 | |
감가상각비 | 300 과소 | 800 과소 | 700 과대 |
300 과소 | 1,100 과소 | ||
감가상각비(누계) | 300 과소 | 1,100 과소 | 400 과소 |
기말잉여금 | 300 과대 | 1,100 과대 | 400 과대 |
P400 10.
20x1년 12월 31일에 기말재고자산 3,000 과대계상.
20x1년의 보고된 순이익 18,000.
20x1년의 정확한 순이익?
기말 3,000 과대 → 이익 3,000 과대
정확한 순이익 = 18,000 - 3,000 = 15,000
P401 11.
다음의 오류로 인하여 20x2년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오류내용 | 20x1년 | 20x2년 |
기말재고액 | 1,000 과대 | 2,000 과소 |
이익 | (1,000 과대) | (2,000 과소) |
기초 | 1,000 과대 | |
이익 | (1,000 과소) |
→ 이익 3,000 과소
P401 12.
20x1년 감가상각비 5,000 과대계상
20X2년 감가상각비 3,000 과소계상
20x2년 말 이익잉여금에 미치는 영향?
20x1년 | 20x2년 | |
감가상각비 | 5,000 과대 | 3,000 과소 5,000 과대 2,000 과대 |
이익잉여금 | 5,000 과소 | 2,000 과소 |
2. 오류수정의 회계처리
(1) 중요한 전기오류인 경우
1) 원칙(소급법)
2) 특정기간에 미치는 오류의 영향이나 오류의 누적효과를 실무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경우(소급재작성의 한계)
(2) 중요하지 않은 전기오류인 경우
기업의 판단으로 당기손익에 반영하거나 수정하지 않을 수 있다.
P393 기본예제 06.
기말상품재고액은 20x1년 말에 700, 20x2년 말에 900 과대계상.
20x3년 말에 1,000 과소계상.
① 20x3년도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② 20x3년도에 기말이익잉여금에 미치는 영향?
20x1년 | 20x2년 | 20x3년 | |
기말 | 700 과대 | 900 과대 | 1,000 과소 |
이익 | 700 과대 | 900 과대 700 과소 (200 과대) |
1,000 과소 900 과소 (1,900 과소) |
잉여금 | 700 과대 | 900 과대 | (1,000 과소) |
P393 기본예제 07.
연도별 수정후 정확한 당기순이익을 구하고 20x3년도 기말이익잉여금에 미치는 영향은?
연도 | 회사가 보고한 당기순이익 | 기말재고자산 |
20x1년 | 200,000 | 50,000 과대 |
20x2년 | 230,000 | 40,000 과소 |
20x3년 | 140,000 | 20,000 과대 |
20x1년 | 20x2년 | 20x3년 | |
기말 | 50,000 과대 | 40,000 과소 | 20,000 과대 |
이익 | 50,000 과대 | 40,000 과소 50,000 과소 90,000 과소 |
20,000 과대 40,000 과대 60,000 과대 |
잉여금 | 50,000 과대 | 40,000 과소 | 20,000 과대 |
연도 | 회사가 보고한 당기순이익 | 수정 당기순이익 |
20x1년 | 200,000 | 150,000 |
20x2년 | 230,000 | 320,000 |
20x3년 | 140,000 | 80,000 |
P397 03.
회계추정의 변경은 새로운 정보의 획득, 새로운 상황의 전개 등에 따라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회계적 추정치를 바꾸는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항목이 아닌것은?
④ 재고자산 단위원가 결정방법의 변경
→ 재고자산 단위원가 결정방법의 변경은 측정기준의 변경으로 회계정책의 변경이다.
P398 06.
회계상의 오류 중 비자동조정오류에 해당하는것?
① 기말에 감가상각비를 과대 또는 과소하게 계상하였다.
P398 07.
미지급금을 현금지불한 경우 거래를 두번 기록한 오류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미지급금 → 부채 과소
현금 → 자산과소
P399 8.
장부상 연도별 당기순이익과 재고자산 기말재고액의 오류는 다음과 같다.
6차 연도 말에 있어서 수정후 당기순이익?
회계연도 | 장부상 순이익 | 기말재고액 오류 |
1차 연도 | 80,000 | 과대계상 5,000 |
2차 연도 | 90,000 | 과대계상 10,000 |
3차 연도 | 85,000 | 과소계상 15,000 |
4차 연도 | 83,000 | 오류없음 |
5차 연도 | 88,000 | 과소계상 4,000 |
6차 연도 | 90,000 | 과대계상 18,000 |
5차 연도 | 6차 연도 | |
기말 | 4,000 과소 | 18,000 과대 |
이익 | 4,000 과소 | 18,000 과대 4,000 과대 22,000 과대 |
→ 90,000 - 22,000 = 68,000
P402 13.
20x1년, 20x2년 재무제표상 오류로 20x3년 12월 31일 이익잉여금의 과소 또는 과대계상?
구분 | 20x2년 | 20x1년 |
기말재고자산 | 1,000 과소계상 | 3,000 과대계상 |
감가상각비 | 800 과소계상 | 2,500 과대계상 |
20x1년 | 20x2년 | 20x3년 | |
기말 | 3,000 과대 | 1,000 과소 | 0 |
감가상각비 | 2,500 과대 | 800 과소 2,500 과대 1,700 과대 |
0 1,700 과대 1,700 과대 |
이익잉여금 | 3,000 과대 2,500 과소 |
1,000 과소 1,700 과소 |
0 (1,700 과소) |
P402 14.
20x3년도 장부마감 후 이익잉여금 870,000
오류수정 후 정확한 이익잉여금?
연도별 | 당기순이익 | 기말재고 |
20x1년 | 85,000 | 500 과소평가 |
20x2년 | 93,000 | 13,000 과소평가 |
20x3년 | 98,000 | 700 과소평가 |
20x1년 | 20x2년 | 20x3년 | |
기말재고 | 500 과소 | 13,000 과소 | 700 과소 |
당기순이익 | 500 과소 | 13,000 과소 500 과대 12,500 과소 |
700 과소 13,000 과대 12,300 과대 |
이익잉여금 | 500 과소 | 13,000 과소 | 700 과소 |
→ 870,000 + 700 = 870,700
P403 15.
20x1년 기말재고자산을 7,000 과소계상하고, 20x2년의 기말재고자산을 10,000 과대계상한 것을 20x2년도 장부를 마감한 후에 발견. 20x2년의 당기순이익과 20x2년 12월 31일 기말이익잉여금에 미치는 영향은?
20x1년 | 20x2년 | |
기말재고자산 | 7,000 과소 | 10,000 과대 |
당기순이익 | 7,000 과소 | 10,000 과대 7,000 과대 17,000 과대 |
기말이익잉여금 | 7,000 과소 | 10,000 과대 |
P403 16.
20x1년 1월 1일
기계 취득 160,000
추정내용연수 10년
추정잔존가액 20,000
정액법
감가상각비 = (160,000 - 20,000) ÷ 10 = 14,000/년
20x6년 초
내용연수 20x8년 12월 31일까지 8년
감가상각비 20,000 계상
재 추정된 잔존가액?
변경전 | 변경후 | ||
취득원가 | 160,000 | -7,0000 | 90,000 |
잔존가치 | 20,000 | → | ? |
내용연수 | 10년 | -5 - 2 | 3년 |
정액법 | (20,000) |
→ 감가상각비 = (90,000 - ?) ÷ 3 = 20,000
∴ ? = 30,000
https://youtu.be/O44rmBAFOkI
'주택관리사 회계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관리사_회계원리#47_p.430 재무비율분석 (0) | 2022.06.04 |
---|---|
주택관리사_회계원리#46_p.406 재무제표 (0) | 2022.06.04 |
주택관리사_회계원리#44_p.389 오류수정 (0) | 2022.06.03 |
주택관리사_회계원리#43_p.385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0) | 2022.06.03 |
주택관리사_회계원리#42_p.376 문제 2번 (0) | 202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