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장 전기설비 제2절 강전 설비 06 변전 설비 (1) 변전설비의 설계 순서 ① 부하설비 용량 산출 부하설비용량산출 = 부하밀도 x 연면적 (2) 변전실의 위치 ① 부하의 중심에 가까운 곳 ② 인입선과 접지선의 접속이 편리한 곳 ③ 채광과 통품이 양호한 곳 ④ 습기나 먼지가 적은 곳 6) 변전 설비의 용량 결정 ① 수용률 = 최대수용전력 ÷ 부하설비용량 x 100(%) 최대수용전력 = 부하설비용량 x 수용률 ② 부등률 = 부하각각의 최대 수용 전력 합계 ÷ 합성최대 수용 전력 x 100(%) ex) 합성최대수용전력시간 : 12시 ~ 2시
A
B
C
최대수용전력시간
10시~12시
12시~2시
20시~22시
∴ 부등률 > 1 ∴ 부등률 ↑ → 설비이용률 ↑ 합성최대수용전력 = 부하각각의 최대 수용 전력 합계 ÷ 부등률 ③ 부하율 = 평균수용전력 ÷ 최대수용전력 x 100(%) 평균수용전력 = 부하율 ÷ 최대수용전력 (7) 변전 설비의 주요 기기 4) 단로기 부하전류개폐 X , 무부하로 개폐 ○ (8) 보호장치 서지보호장치(SPD) → 낙뢰에서 과전압, 과전류로 부터 보호해 주는 장치 (9) 감시 및 제어 ① 운전표시 : 적색램프 ② 정지표시 : 녹색램프 09 예비 전원 설비 - 축전지 - 비상발전기 - UPS 10 접지공사 전기누설에 의한 화재 및 감전의 위험이 생기거나 전력 손실이 증가하는 등 여러가지 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피해를 줄이고자 접지공사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 친환경자동차법설치대상 → 공공주택 중 100세대 이상의 아파트 ○, 기숙사 ○ 5/100 이상 40kW 이상 → 고속 수소 → 25kW 이상 12 배선공사 목재몰드,금속몰드 (→ 금속관공사의 증설공사), PVC 몰드 → 습기가 있는 곳은 사용 X (3) 배선공사의 방법 3) 경질 비닐관 공사(합성수지관공사) ② 기계적 강도 및 열에 약하다. ③ 절연성과 내식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하다. 4) 금속관 공사 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주로 철근콘크리트의 매설(매립) 공사에 많이 이용된다. ④ 전선교체는 용이하다 ⑤ 증설공사가 어렵다. → 금속몰드공사, 가요전선관 공사 6) 가요전선관 공사 → 엘리베이터, 전동기(짧은배선), 굴곡부분, 천장은폐공사, 금속관공사 증설공사 콘크리트 매설 X 7) 플로어 덕트 공사 ① 콘크리트 바닥속에 플로어 덕트를 통하게 하고 콘센트등을 꽂을 수 있도록 한 공사 ② 백화점이나 실이 넓은 사무실의 바닥 등에 이용된다. 9) 버스 덕트 공사 큰 전류가 통하는 대형 건물의 간선 공사로 이용된다. 13 배선기구 차단기 저압 ; 누전차단기, 배선용차단기 고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