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까말까

주택관리사_시설개론#21_p.168 벽돌쌓기 일반적 주의사항 본문

주택관리사 시설개론

주택관리사_시설개론#21_p.168 벽돌쌓기 일반적 주의사항

옥토천일 2022. 4. 26. 22:30
반응형

제5장 조적조
제1절 벽돌구조
17 벽돌쌓기의 일반적 주의 사항
① 줄눈 너비 : 10mm 표준, 세로줄눈 통줄눈 되지 않도록
② 영식쌓기 또는 화란식 쌓기
③ 가로 줄눈의 바탕 모르타르는 일정한 두께로 평형히 바르고, 벽돌을 내리 누르듯 규준틀과 벽돌나누기에 따라 정확히 쌓는다.
④ 세로줄눈의 모르타르는 벽돌 마구리면에 충분히 발라 쌓도록 한다.
⑤ 벽돌은 각 부가 가급적 동일한 높이로 쌓아 올라가고, 벽면의 일부 또는 국부적으로 높게 쌓지 않는다.
⑥ 하루쌓기 높이
ⓐ 돌(식재) : 표준 1m 이하
ⓑ 벽돌 : 표준 1.2m 이하 최대 1.5m
ⓒ 블록 : 표준 1.5m이하
ⓓ ALC 블록 : 표준 1.8m 이하 최대 2.4m
⑦ 연속되는 벽면의 일부를 트이게 하여 나중쌓기로 할 때는 그 부분을 층단 들여 쌓기로 한다.

⑨ 벽돌벽이 블록벽과 서로 직각으로 만날 때에는 연결철물을 만들어 블록3단마다 보강하여 쌓는다.

⑪ 물축임
ⓐ 붉은벽돌 : 하루전
ⓑ 콘크리트(시멘트)벽돌 : 쌓기 직전에 물을 축이지 않는다
ⓒ 내화벽돌 : X
ⓓ 블록 : 모르타르 접착면만 적당히
ⓔ 보강블록조 : X

19 벽돌벽체의 균열 원인
(1) 계획, 설계상의 미비
① 기초의 부동침하
② 건물의 평면, 입면의 불균형 배치 및 벽의 불합리 배치
③ 불균형 또는 큰 집중하중, 횡력 및 충격
④ 벽돌벽의 길이, 높이, 두께와 벽돌체의 강도 부족
⑤ 개구부의 크기의 불합리, 불균형 배치
(2) 시공상의 결함
① 벽돌 및 모르타르의 강도부족과 신축성
② 벽돌벽의 부분적 시공결함
③ 이질재와의 접합부
④ 장막벽의 상부의 모르타르 다져넣기 부족
⑤ 모르타르 바름의 들뜨기
(3) 벽돌벽의 균열방지대책
① 가급적 복잡한 평면구성을 피한다.
② 부동침하에 대해 충분히 고려한다.
③ 균열이 완전히 고정된 곳은 미장 바름으로 보수한다.
④ 기초는 가급적 동일형식, 동일구조로 하고 강성을 높인다.
⑤ 양질의 자재(벽돌, 모르타르)를 사용한다.
⑥ 창틀의 균형적 배치, 상하층의 창호위치, 나비를 일치시켜 개구부 주위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⑦ 건물의 중량배분을 균일화하여 하중의 집중현상을 피한다.
⑧ 벽의 상부, 이질재와 접합부 등은 신축줄눈, 조절줄눈을 설치한다.

20 백화
(1) 발생원인
공사가 끝난 후 얼마지나지 않아 물이 스며들어 벽돌벽의 벽체 표면에 흰 가루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는 새로운 벽돌벽을 쌓을 때 줄눈모르타르에 수분이 침입해서 시멘트 모르타르 중 알칼리 성분이 벽돌에 스며들어 벽돌 중의 탄산소다(황산나트륨), 황산고토 등과 화학반응을 하여 발생한다.
① 벽돌벽면의 빗물 침입
② 재료불량, 시공불량
③ 습도가 높을 때
④ 기온이 낮을 때
⑤ 물시멘트비가 클 때

21 벽돌조 복원 및 청소공사
(3) 청소방법
① 물세척
② 세제세척 : 중성세제
③ 산세척

제2절 블록구조
01 기본 블록
살두께 25mm 이상, 빈 속의 최소 지름은 60mm 이상
길이 x 너비 x 두께 : 390 x(100,150,190,210) x 190

03 블록의 자재
4. 블록 제작에 쓰이는 골재의 최대치수는 블록 치소 살두께의 1/3 이하로 한다.

04 운반, 취급 및 저장
(2) 시멘트
② 적재높이는 13포대를 한계로 하며 검사가 용이하도록 적재한다.

05 블록쌓기
(1) 준비
③ 블록은 깨끗한 건조상태로 저장되어야 하고 담당원의 승인 없이는 물축임을 해서는 안된다.
④ 블록에 붙은 흙, 먼지 기타 더러운 것은 제거하고 모르타르 접착면은 적당히 물로 축여 모르타르의 경화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한다.
⑥ 최초 물을 가해 비빈 후 모르타르 2시간, 그라우트 1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은 다시 비벼쓸 수 있다.
(2) 쌓기
① 막힌줄눈
③ 살두께가 큰 편을 위로하여 쌓는다.
⑤ 하루의 쌓기 높이는 1.5m 이내를 표준으로 한다.
⑦ 줄눈은 10mm
⑧ 모르타르 또는 그라우트를 사춤하는 높이는 3켜 이내로서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하루의 작업종료 시의 세로줄눈 공동부에 모르타르 또는 그라우트의 타설높이는 블록의 상단에서 약 50mm 아래에 둔다.
⑨ 보강철근 피복두께 20mm 이상
⑩ 블록 보강용 철망 #8~#10 사용.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바가 없을 때는 #10 으로 한다.
* 와이어 메시(용접철망) 사용 목적
ⓐ 횡력저항(전단작용에 대한 보강)
ⓑ 수직균열방지
ⓒ 교차부 보강
ⓓ 교차부 균열방지
ⓔ 수직하중 분산효과

07 벽량
내력벽 길이의 총합계(㎝) / 바닥면적 (㎡)

08 보강 블록공사

(1) 벽 세로근
③ 기초 및 테두리보에서 위층의 테두리보까지 잇지 않고 배근하여 그 정착길이는 철근 직경의 40배 이상
④ 세로 피복 두께는 20mm 이상
(3) 블록쌓기
① 콘크리트용 블록은 물축임하지 않는다.
② 보강 블록조와 라멘구조가 접하는 부분은 보강 블록조를 먼저 쌓고 라멘구조를 나중에 시공한다.

09 인방블록쌓기
(2) 인방블록은 창문틀의 좌우 옆 턱에 200mm 이상 물리고,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400mm 정도로 한다.
(3) 그라우트를 부어 넣을 때에는 인방블록의 안면을 적당히 물축임을 하고 철근의 위치를 정확이 유지하며 그라우트를 빈틈없이 다져 넣는다.
(4) 철근의 피복두께는 최소 30mm 이상

https://youtu.be/_5fFHW6GSbw